728x90
반응형
비트필드
- 구조체가 가진 멤버를 비트 단위로 사용한다.
- 비트필드를 정의할 때는 멤버 이름 다음에 :을 쓰고 비트 수를 적어주면 된다.
- 메모리에 할당할 때, 첫 번째 멤버를 최하위 비트(LSB)에서부터 할당한다.
- 비트필드의 멤버에 주어진 비트로 표현 가능한 범위 밖의 값을 저장하면 오버플로우가 발생한다.
- 비트 필드도, 구조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한다.
공용체
- 공용체는 여러 멤버들이 메모리를 공유해서 사용한다.
- 공용체를 정의하면 공용체도 구조체 처럼 새로운 데이터형이 된다.
- 공용체 변수를 초기화할 때는 첫 번째 멤버의 초기값만 지정한다.
- 공용체의 멤버에 접근할 때도 . 또는 -> 연산자를 사용한다.
- 공용체 변수의 멤버들은 모두 같은 주소에 할당된다.
- 공용체의 크기는 고용체의 멤버 중 가장 크기가 큰 멤버에 의해 결정된다.
728x90
반응형
'Study > C, C+, 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언어] 구조체 배열에 대한 개념. (179) | 2019.06.20 |
---|---|
[C언어] 구조체에 대한 개념정리. (181) | 2019.06.20 |
[C언어] 포인터 상수, 배열, 변수에 대한 개념 정리. (183) | 2019.06.20 |
[C언어] 포인터와 배열에 관한 개념 정리. (178) | 2019.06.20 |